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가입자는 어떻게 달라질까?
오는 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국민연금공단은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을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가입자의 월 보험료 부담이 늘어나게 되는데요. 이번 변경이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편안한 노후 위한 필수템 ‘연금’ 잘 받는 꿀팁
편안한 노후 위한 필수템 ‘연금’ 잘 받는 꿀팁
노후 준비, 지금부터 시작하세요: 연금 설계와 수령의 모든 것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연금 설계는 더 이상 어르신들만의 관심사가 아닙니다. 2030세대 역시 은퇴 후의 삶을 위해 체계적인 계획이
jinsostory.tistory.com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 내용
국민연금 보험료는 가입자의 소득월액에 9%를 곱한 금액으로 산정됩니다. 2025년 7월부터 적용될 소득월액 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월액 상한액: 617만 원 → 637만 원
- 소득월액 하한액: 39만 원 → 40만 원
이 조정으로 인해 일부 가입자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배우자 사망시 국민연금 청구. 국민연금 유족연금 청구 대상자 및 방법 알아보자.
배우자 사망시 국민연금 청구. 국민연금 유족연금 청구 대상자 및 방법 알아보자.
[국민연금] 배우자 사망으로 인한 유족연금을 알아보자핵심만 뽑았다! 3줄 요약▷ 유족연금은 일정 납부요건을 충족한 가입자(였던 자), 노령연금 또는 장애등급 2급 이상 장애연금 수급권자
jinsostory.tistory.com

월 소득 637만 원 이상 가입자의 보험료 변화
월 소득이 637만 원 이상인 가입자는 상한액 조정에 따라 월 보험료가 최대 1만 8천 원 증가합니다.
- 기존: 55만 5,300원 (617만 원 × 9%)
- 변경: 57만 3,300원 (637만 원 × 9%)
- 차이: 1만 8천 원 증가
이때 직장 가입자는 보험료의 절반을 회사가 부담하므로 본인은 9천 원을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역 가입자는 인상분을 전액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월 소득 40만 원 미만 가입자의 보험료 변화
소득이 40만 원 미만인 가입자는 하한액 조정으로 인해 보험료가 최대 900원 증가합니다.
- 기존: 3만 5,100원 (39만 원 × 9%)
- 변경: 3만 6천 원 (40만 원 × 9%)
- 차이: 900원 증가
보험료가 변동되지 않는 가입자
다행히도, 기존 상한액(617만 원)과 새로운 하한액(40만 원) 사이의 가입자는 보험료 변동이 없습니다. 즉, 현재 소득이 이 범위에 해당하는 직장인과 자영업자는 이번 인상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번 조정의 의미와 적용 기간
이번 소득월액 조정은 국민연금 보험료와 연금액을 현실화하기 위한 조치로, 매년 가입자의 소득 수준 변화에 맞춰 조정됩니다.
적용 기간: 2025년 7월 ~ 2026년 6월
국민연금은 노후 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사회보장 제도이므로, 이번 조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대비가 필요합니다. 본인의 소득 수준에 따른 보험료 변동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맞춰 재정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https://youtu.be/QLBdINgBOH0?si=4Q1fQ-sFgK8E_9sG
더 자세한 내용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ps.or.kr/
국민연금 함께 나누고 함께 누려요
www.nps.or.kr
'경제 및 금융(재테크, 보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립대학교와 국립대학교 등록금 순위와 차이 (3) | 2025.02.01 |
---|---|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안내 – 가입 일정 및 주요 혜택 정리 (3) | 2025.01.31 |
애드센스 "CPC가 수익에 적용"되는 예시 (2) | 2025.01.24 |
애드센스 CPC란 무엇인가요? CPC를 높이는 방법도 알아보자! (3) | 2025.01.24 |
삼성금융 모니모 "특별 이벤트와 기능" 등 "꿀팁" 알아보고 가세요! (2)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