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치매 조기 치료 및 관리로 사회 경제적 비용 절감에 기여
치매를 조기에 지속적으로 치료,관리함으로써 치매증상을 호전시키고 증상 심화를 방지하여 노후 삶의 질 제고 및 사회경제적 비용 절감에 기여
【 목 차 】
신청기간 및 방법
신청기간 : 상시신청
전화문의 : 치매상담콜센터 관할 보건소(치매안심센터) (1899-9988)
신청방법
○ 주민등록주소지 관할 보건소(치매안심센터)에 신청(방문, 우편, 팩스, 전자우편 제출 가능)
- 타 지역 주민도 신청 가능하며, 이 경우 치매안심센터는 신청인 정보와 서류를 주소지 관할 치매안심센터로
공문 이송하고 신청자에게 안내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 본인명의 입금통장사본
- 당해년도 발행된 치매치료제가 포함된 약처방전 또는 약품명이 기재된 약국 영수증
- 지원대상자의 주민등록등본 1부
- 신청일 전월 기준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및 건강보험증 사본 1부
- 행정정보 공동이용 사전 동의서
지원대상
지원대상 : 주민등록기준 보건소(치매안심센터)에 치매환자로 등록된 자로서 치매치료관리비 지원을 받고자하는 자
* 중복혜택 금지
- 의료급여본인부담금상한제(의료급여법 시행령 제13조제6항)
- 의료급여본인부담금보상제(의료급여법 시행령 제13조제5항)
- 긴급복지의료지원 - 장애인의료비지원(약제비만 지원)
선정기준
○ 연령기준, 진단기준, 치료기준, 소득기준을 모두 충족하는자로 선정
- (연령기준) 만 60세 이상인자(초로기 치매환자도 선정가능)
- (진단기준) 의료기관에서 치매(해당 상병코드)로 진단 받은 치매환자
- (치료기준) 치매치료제 성분, 혈관성치매 성분이 포함된 약을 처방받은 경우
* 치매치료약 해당여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목료표'에서 확인가능(http://www.hira.or.kr)→ 의료정보→의약품 정보→자료공개
-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인 경우(권고)
* 해당 사업은 '22년부터 지방이양사업으로 지자체별로 대상자 선정 기준(소득기준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
지원내용
○ 치매치료관리비 보험급여분 중 본인부담금에 대해 월 3만원(연36만원) 상한 내 실비 지원
(치매약제비 본인부담금 + 약 처방 당일의 진료비 본인부담금)
○ 비급여항목(상급병실료 등) 제외
반응형
'경제 및 금융(재테크, 보조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해남으로 귀농ㆍ귀촌하시는 분들 이사정착비 지원 받으세요! (4) | 2024.09.26 |
---|---|
전북 순창으로 귀농하시는 분들 이사정착비 지원 받으세요! (7) | 2024.09.26 |
억울한 75·85·95년 12월생…"한달 빨리 태어났다고 100만원 더 내야한다?" (6) | 2024.09.23 |
‘넥슨 메이플’ 피해자 80만명 역대 최대 219억원 보상 결정. 신청하기. (7) | 2024.09.22 |
경기도 시흥시 노인 일자리 지원 신청방법 및 지원 내용 (7)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