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나의 인생

아침밥을 안 먹으면 나타는 건강신호!

by 더알파 2024. 12. 21.
반응형

아침밥, 먹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직장인들은 매일 아침, 아침식사를 포기하고 잠을 더 잘지 고민하기 마련입니다. 최근 간헐적 단식이나 다이어트 등 다양한 이유로 아침을 거르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아침 식사를 가급적 챙길 것을 권장합니다. 아침을 거르면 에너지 부족으로 활기찬 하루를 시작하기 어렵고, 이는 야식과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아침밥을 거를 경우 우리 몸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목 차 】

     

    1. 복부비만 증가

    아침을 거르는 것은 체중 감소에 잠시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복부비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연구 결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연구에 따르면, 아침을 거르면 체중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지만, 이후 체중이 원래대로 돌아갈 때 복부에 지방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건강 영향: 복부비만은 다른 부위의 비만보다 건강에 더 해로운 영향을 끼칩니다.

    2. 영양소 결핍 가능성 증가

    아침을 거르면 필요한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문제점: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의 필수 영양소가 부족하면 정신 건강 및 신체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 간헐적 단식을 계획 중이라면 영양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균형 잡힌 식단을 설계하세요.
    • 스스로 식단을 점검해 필수 영양소가 골고루 포함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3. 질병 위험 증가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질병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결과: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아침을 반복적으로 거르는 습관이 몇 가지 질병의 위험률을 높인다고 밝혔습니다.

    • 여성의 경우, 아침을 자주 거르면 2형 당뇨병 위험이 20% 증가합니다.
    • 혈압, 호르몬, 콜레스테롤 수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규칙적인 식사가 필수입니다.

     

    아침밥, 건강한 하루의 시작

    아침식사는 단순히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닙니다. 하루의 에너지를 보충하고, 건강을 지키며, 질병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간헐적 단식 등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가벼운 아침이라도 꼭 챙기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반응형